본문 바로가기

동정맥루

(2)
인조혈관을 이용한 동정맥루(Arteriovenous graft, AVG)의 가능한 합병증과 감시, 그리고 경피적 혈관성형술(percutaneous transluminal angioplasty, PTA)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 인조혈관 이식편의 합병증 인조혈관을 이용한 동정맥루 형성술(Arteriovenous graft, AVG)에서 합병증으로 가장 많은 것은 문합부의 출혈이다. 그 다음으로 많은 합병증은 이식편 내의 혈전 형성이다. 조기 혈전은 주로 기술상의 문제로 일어나며, 이식편의 꼬임이나 뒤틀림, 부적절한 문합으로 발생한다. 때로는 과응고성향이 조기에 혈전성 폐색을 초래하기도 한다. 후기의 혈전성 폐색은 주로 정맥 문합부의 내막증식증으로 인해 발생하거나, 반복되는 천자 부위에서 섬유아세포 등의 내향성 증식으로 인한 소위 백색혈전의 형태로 나타난다. 아직까지 내막증식증의 기계적 또는 약물학적 예방법은 없다. 자가정맥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식편 협착인 경우에도 경피적 혈관성형술(percutaneous translumin..
혈액투석을 위한 동정맥루 조성술 (arteriovenous fistula(AVF) formation for hemodialysis) 이번 달부터 혈관외과 파트를 돌게 되었다. 혈관외과는 대수술인 복부대동맥류 수술에서부터 하지정맥류 수술, 동정맥루 조성술, 케모포트 삽입술 등의 수술을 시행하고 있다. 오늘 동정맥루 조성술을 한 케이스 보조했다. 말기 신부전으로 혈액투석을 하는 환자분이며, perm catheter를 통해서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환자분이었다. perm catheter는 장기간 사용할 수 없으므로 추후 지속적으로 혈액투석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동정맥루 조성술을 받기로 한 것이다. 수술은 국소마취로 진행되며 수술 전에 도플러 초음파로 mapping을 해서 수술 시에 혈관의 위치를 알 수 있도록 팔에 수술 시에 쓰일 혈관들을 그려놓는 작업을 먼저 하게 된다. 환자분 수술은 순조롭게 잘 끝났고 내일 특이 사항이 없으면 퇴원이 가..